2025 청년도약계좌 소득기준 변경 총정리
청년들의 자립을 돕고 목돈 마련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,미래를 준비하는 청년들은 살펴 볼만 합니다.
2025년 7월 기준, 청년도약계좌 소득기준은 ‘개인소득’만 확인하며, 정부기여금도 월 최대 3.3만원(5년 198만원)까지 확대되었습니다. 변경된 기준, 계산법, 예외사항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소득을 보지 않고, 개인소득만으로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와 수준을 판단합니다. 또한 월 70만원 전액에 대해 기여금 매칭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개편되어, 최대 월 3.3만원, 5년간 198만원까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1. 핵심 요약 (2025.07 기준)
- 심사 기준: ‘개인소득’만 확인, 가구소득 미적용
- 개인소득이 총급여 6,000만원(종합소득 4,800만원) 초과 또는 소득 없음 → 정부기여금 미지급 (단, 육아휴직·군급여는 예외)
- 정부기여금 월 최대 3.3만원, 5년간 총 198만원 지원
- 월 납입한도: 최대 70만원
2. 왜 ‘가구소득’이 빠졌나?
2023~2024년에는 가구소득(중위소득 180% 이하 등) 기준이 있었지만, 2025년부터는 개인소득만으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산정하도록 단순화되었습니다. 덕분에 독립세대가 아니더라도 청년들이 손쉽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3. 정부기여금 얼마나 받나? (예시 계산)
2025년 1월부터는 월 70만원 전액에 대해 기여금 매칭이 가능하고, 기존 매칭한도(40/50/60만원)를 넘는 구간(40~70만원)에는 3.0%의 매칭비율이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개인소득 2,400만원 이하 청년이 월 70만원 납입 시 기존 2.4만원에서 3.3만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개인소득 구간(예) | 월 납입액 | 기여금 매칭 구조 | 월 최대 기여금 |
---|---|---|---|
총급여 2,400만원 이하 | 70만원 | 40만원까지 6.0% + 40~70만원 3.0% | 33,000원 |
총급여 6,000만원 이하 | 70만원 | 구간별 차등 적용 (40~70만원 3.0%) | 최대 33,000원 |
총급여 6,000만원 초과 | - | 정부기여금 미지급 | 0원 |
4. 유지심사(매년) 체크 포인트
- 매년 개인소득금액(국세청 기준) 자동 확인 → 별도 서류 제출 불필요
- 소득 변동 시 정부기여금 비율이 재산정될 수 있음
- 소득 없음으로 확인 시 기여금 지급 중단 (육아휴직급여·군급여 예외)
5. 내가 받을 금액, 이렇게 확인
- 개인소득 구간 확인 (국세청 자료)
- 월 납입액을 70만원까지 설정
- 서민금융진흥원 안내문으로 구간별 매칭비율 확인 후 월/연/5년 누적 기여금 계산
-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각 은행 금리와 우대조건 확인
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가구소득은 이제 안 보나요?
네, 2025년부터는
개인소득만 기준으로 삼습니다.
Q2. 내 소득이 6,000만원을 넘으면?
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
않으나, 6,000~7,500만원 구간은 비과세 납입만 가능할 수 있으니 은행에
확인하세요.
Q3. 월 70만원 꼭 채워야 하나요?
아니요. 자유납입형이며,
실제 납입액만큼만 기여금이 매칭됩니다.
Q4. 신용점수 가점은?
2024년 이후 적용 예정이며 은행별로
세부 조건을 공지합니다.